조용한ㅁ 2013. 10. 9. 22:28

실제 육안으로 보이는 동이 틀 시각 그믐달의 모습

 

그믐달은 이제 내일부터 음력 4일경 까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음력으로 4~~5일경이면 오늘과는 반대모양의 초승달이 뜨게 되는 것입니다.

 

그믐(the end of the month)은 음달의 마지막 날인 음력 30일을 뜻한다.
그믐달(old(dark) moon)은 초승달의 반대로써 가장 작아진 달을 말한다.
그믐달은 음력 27일~28일을 대개 그믐달이라고 말하는데, 하현달처럼 이미 하루를 넘겨야 볼 수 있지만 그믐달은 아예 한밤중마저도 넘긴 새벽녘이 되서야 나온다.
하지만 새벽녘에 잠시보였다가 얼마 안 있어 날이 밝아지면 하늘 속으로 사라지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그믐달이 뜨고 지는 것에 대한 관측기록이 되어있지 않다.(위키백과)

 

 

그믐달은 이론적인 의문에 의해 언제 남쪽하늘에 있고, 언제 확실하게 지는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오후에 진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음력 28일 이후인 음력 29일부터는 새벽녘에도 달이 보이지 않는 시기가 된다.

이 때부터 그믐이 시작되는 것이고 음력 30일까지 이어지다가, 다시 음력 1일로 돌아가서 신월(新月)이 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음력 12월 30일의 그믐을 섣달그믐이라고 하여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세시풍속이 있다.





             [음력 날짜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



달은 태양과 지구와 달의 위치에 따라서 관찰되는 모양과 시간이 다르다.
우리가 달을 보는 것은 달이 햇빛을 지구로 반사하기 때문에 관찰 할 수 있다.

 

1. 초승달 - 초저녁 서쪽하늘에서 관찰된다.

                 ① 음력으로 매월 초에 뜨는 달 
2. 상현달 - 초저녁 남쪽하늘에서 떠서 한밤중에 서쪽하늘에서 사라진다.

                 ① 매달 음력 7~8일경에 뜨는 달  

                 ② 초승달과 보름달의 중간 모습의 반달로, 둥근 쪽이 아래를 향한다 
3. 보름달 - 초저녁 동쪽하늘에서 떠서 새벽 서쪽하늘로 진다. 하늘만 맑으면 밤동안 관찰 할 수 있다.

                 ① 음력 보름날에 뜨는 둥근 달
4. 하현달 - 한밤중에 동쪽하늘에 떠서 새벽에 남쪽하늘에서 사라진다.

                 ① 보름에서 초하루 중간에 뜨는 달 

                 ② 달의 왼쪽 반 가량이 보이며, 활의 현을 엎어 놓은 모양과 비슷하다 
5. 그믐달 - 새벽에 동쪽하늘에서 관찰된다.

                 ① 음력으로 그 달의 마지막 날에 뜨는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