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공지/전시회. 음악회. 공지

간송미술관 봄 정기 전시회

조용한ㅁ 2009. 5. 19. 23:07

금강산…인왕산…금수강산 황홀경… 겸재 진면목 다시보다

  

                정선 서거 250주년… 간송미술관 봄 정기 전시회
  • ◇겸재가 72세 때 그린 ‘해악전십첩’ 중 ‘금강내산’.
    올해는 겸재 정선(1676∼1759)이 서거한 지 2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은 봄 정기 전시회에서 겸재 정선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전시를 선보인다.

    국보급 미술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는 간송미술관은 일 년에 단 두 번(5월과 10월) 각각 보름간만 일반에 공개한다. 매번 겸재, 단원, 혜원 등 조선시대 명품 미술품이 공개되기 때문에 간송미술관 전시는 언제나 큰 주목을 받는다.

    중요 미술품을 수집해 미술관을 세운 간송 전형필은 특히 겸재 그림을 집중적으로 수집했다. 간송미술관에서 처음 열린 전시 역시 겸재 전시였다. 간송미술관은 1971년 가을 제1회 전시회에서 겸재전을 연 데 이어 1981년 진경산수화전, 1985년 진경시대전, 1988년 진경풍속전, 1993년 겸재진경산수화전, 2004년 66회 대겸재전 등 모두 6차례 전시를 열었다. 또 첫 전시 이후 겸재 연구를 시작해 매 전시 때마다 겸재 연구 결과를 발표해왔다.
    ◇인왕산 계곡을 그린 ‘청풍계’.

    이번 전시는 겸재 서거 250주년을 맞아 겸재 전시와 연구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자리다. 특히 40여년간 겸재를 연구해온 최완수 학예실장은 올해 하반기 겸재의 일대기와 작품 세계를 다룬 평전을 출간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겸재가 41세 때 첫 벼슬로 관상감 천문학 겸교수(종6품)에 올랐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

    겸재는 동양화의 양대 기법이라고 할 수 있는 필법과 묵법에 정통해 필묵을 한 화면에 이상적으로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진경산수화법을 창안했다. 최 실장은 “암산절벽은 필법으로 처리하고 숲이 우거진 토산수림은 묵법으로 처리했다”며 “여기에 토산수림이 암산절벽을 감싸서 음양조화를 이루게 하거나 토산과 암산이 마주보게 해 음양대비를 이루게 하는 화면구성법을 구사했다”고 설명했다. 겸재는 ‘주역’에 밝아 음양조화와 음양대비의 원리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36세 때 금강산을 처음 여행한 겸재는 금강산의 빼어난 풍경을 그린 21폭의 ‘해악전신첩’을 그렸다. 이어 72세 때 다시 한번 금강산의 황홀한 경치를 그리기로 마음먹고 ‘해악전신첩’을 다시 꾸며냈다. 젊은 시절 그린 ‘해악전신첩’(일명 ‘신묘년풍악도첩’·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패기 넘치는 젊은 작가의 작품답게 필법이 날카롭고 묵법이 엄정하다면, 72세 때 그린 ‘해악전신첩’은 노대가의 그림답게 달관과 확신으로 가득차 필법은 부드럽게 세련되고 묵법은 거침없다. 하지만 필묵 사용의 기본 정신과 음양 조화의 화면 구성 원칙은 철저히 고수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겸재는 63세 이후 화법이 완성돼 진경 기법의 진면목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64세 때 그린 ‘청풍계’는 그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이어 겸재의 그림은 노년으로 갈수록 추상화 경향을 보인다. 80세에 그린 ‘사문탈사’ 등은 그림이 더욱 단순화, 추상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금강산을 그린 ‘해악전신첩’, 한강 주변을 그린 ‘경교명승첩’, 관동팔경을 그린 ‘관동명승첩’, 또 말년의 초충도 등 겸재의 화풍을 아우르는 80여점이 내걸린다. 또 겸재 화풍을 계승한 후배 화가들의 그림도 함께 전시된다. 심사정, 김홍도, 김득신, 신윤복 등 유명 화가뿐만 아니라 겸재를 좋아해 이름까지 바꾼 김희겸 등의 그림이 선보인다.

    최 실장은 “겸재 정선은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정확히 짚어내 표현했다”며 “우리나라 회화 사상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긴 대화가로 화성(畵聖)의 칭호를 올려야 마땅한 인물”이라고 말했다. 5월 17∼31일.

    김지희 기자 kimpossibl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