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진묘(眞眞妙)
그림 명제인 〈진진묘〉는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장욱진 화백의 부인 이
순경여사의 법명(法名)이다. 1970년 1월 3일, 명륜동 집에서 부인이 기도하는
모습을 보고 장 화백은 별안간 덕소로 가야겠다며 집을 나섰다. 장 화백의
뇌리에는 언젠가 부인이 내 얼굴도 하나 그려주세요 했던 일이 떠올라 연초
인데도 화실로 간 것이다.
화상(畵想)을 안고 덕소 화실에 온 장화백은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침
식을 잊고 〈진진묘〉 제작에 여념이 없었다. 1주일 작업 끝에 완성된 작품
을 들고 명륜동 집에 돌아온 장 화백은 부인에게 그림을 내밀어 놓고는 쓰
러져 3개월 동안이나 앓아누웠다.
〈진진묘〉는 서 있는 관세음보살 같은 금동불상을 연상케 한다. 오래된
금빛을 느끼게 하는 부처의 전신과 그 뒤의 광배와 원광 같은 타원형의 배
경 색채에서 금동불상의 분위기가 느껴진다. 보관을 쓴 얼굴에 오른손은 자
비를 베풀어주는 손짓인 시무외인(施無畏印)처럼 들어 손바닥을 앞쪽으로
향하게 했다. 오른손의 손바닥이 이쪽을 향하면 그것은 중생의 소원을 들어
주는 손짓인 여원인(與願印)이 된다.
어깨에서부터 무릎까지 원피스처럼 내려 입은 옷 표면의 굵은 선들이, 불
상의 목 장식품이며 천의(天衣), 바지, 치마 등의 옷 주름을 금동불상의 조
각선보다 더 뚜렷하게 새겨놓았다. 그 강한 선이 조각의 음양각의 입체성에
비길 만한 효과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몸의 비례에 비해 큰 얼굴이나 잠
수용 물갈퀴가 달린 신발을 신은 듯한 두 발이 또한 발가락 사이에 막이 있
다는 불상의 발 모습을 상징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출처] [펌] 진진묘~*[장욱진]|작성자 bellevue04
뭔가 단순한 선으로 그려진 그림 바로 진진묘(眞眞妙)라는 그림입니다.(오른쪽 그림)
아내를 모티브로 그린 그림 '진진묘'라는 그림은 끼니도 거른 채 일주일 꼬박 걸려 그린 '대작'입니다.
여기서 '진진묘' 독실한 불교 신자인 아내의 법명입니다.
이 그림은 예불을 드리는 부인의 모습을 그린 작품으로 특히 간결하고 압충된 선만으로 사람의 형태를
표한한 것은 부인의 외면이 아닌 내면의 본질을 표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그림은 장욱진화가께서 그린 유일한 초상화이며 불교에 관련된 그림입니다.
아내의 모습에서 불성을 발견한 것이겠지만 그냥 보아서는 불화라고 해도 될 것 같다. 그런데 보면 볼수록 그림이 참 묘합니다. 표정하며 자세하며 아내같기도 하고, 보살같기도 하고.....그래서인지 이 그림을 그리고 나서 나는 몇 개월동안 앓아 누웠고, 이를 불길하게 여긴 나의 부인이 다른 사람에게 팔아 버렸다. 이 작품을 자신의 대표작이라 여긴 나는 이를 두고두고 아까워했다
내가 자신이 직접 제목을 붙인 몇 안되는 작품이다.
- 장욱진의 말 中 -
그런 분을 지아비로 둔 이순경 여사를 만나고 싶다.
95년이었던가, 호암미술관에서 열린 장욱진 회고전에 간 일이 있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는 삶의 철학이 그림 되어 나와서
언뜻 보기는 아이 그림처럼 단순해서 나도 그리겠다, 하지만
'착실히 그리고 철저하게 그러면서도 친절히 보거나 보아주지 않고
데면데면 지나치는' 사람은 볼 수 없는 본질과 생명을 보고 표현해서 잠시나마 우리를 겸손하게 만들어주던 분.
소박, 단순, 명쾌, 흐믓.
그런 그림들을 흐믓한 마음으로 지나다가 한 그림 앞에서 멈췄다.
보살?
단순하고 단아하고 평안한 느낌을 주는 '진진묘'라는 그림이었다.
괄호 안에는 My Wife's Buddhist Name이라고 쓰여 있었다.
그러니까 진진묘는 아내 사랑이 그윽하게 담긴 그림이었다.
누군가는 그걸 보고 '평생 반려에 대한 옛날식 사랑법'이라고 했다.
7일 낮밤을 밥 한 술 대지 않고 그렸다는 이야기였다.
초상화 하나 그려달라고 부탁한지 하도 오래 되서 자신도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을 무렵,
슬그머니 건네진 작품이라니 그 융숭한 느낌이 어디에서 오는지 알 것 같았다.
바로 그 진진묘, 이순경씨를 그곳에 가면 만날 수 있다니 감사할 일이다.
설령 외출해서 빈집이라 해도 예술혼과 생활의 체취를 만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관람자의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