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형상화했다.
앙상한 뼈(歹) 앞에 사람(人)이 꿇어앉아 애도를 표하는
모습이다.
죽음과 관련된 의미를 갖는다.
다 그렇다.
사람의 죽음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불렀다.
○제후(諸侯)가 죽으면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선비는 녹(祿)을 타지 않고 죽는다는 뜻에서
불록(不祿),
○서민은 사(死)라고 했다.
이때는 죽은 이를 사자(死者)라고 부른다.
그러나 사람이 죽어 장례까지 다 마친 뒤에는
망(亡)이라고 했다.
이때는 죽은 이를 망자(亡者)라고 일컫는다.
죽은 이의 위 아래를 풀로 덮은 것이다.
들이나 숲에 갖다 놓던 장례 습속이 반영돼 있다.
이 경우 시신(屍身)이
야생 동물에 의해 훼손당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망자와 가까운 이들이
화살을 갖고 며칠씩 시신을 지키곤 했다.
활(弓)과 사람(人)으로 구성돼 있는 것은
이런 풍습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는 조(弔)의 속자다.
곡(哭)을 하는 입(口)에
조문의 등(燈)을 매다는 헝겊(巾)이 더해져 만들어졌다.
시신을 바깥에 버린 뒤
활을 들고 지켜주던 습속이 사라지고
대신 곡을 하며 등을 달아 장례를 치르는 풍습이
유행하면서
조(弔)보다는 조(吊)가 많이 쓰이게 됐다. |
'아름다운글 > 수필.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과 인생 (0) | 2014.01.29 |
---|---|
프랜시스 베이컨, '루치안 프로이트의 세가지 연구', 1969 (0) | 2014.01.28 |
조선왕조 묘호에 조와 종의차이 (0) | 2014.01.26 |
15분의 소망 (0) | 2014.01.05 |
아네스의 노래 (0) | 201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