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李仲燮, )
이중섭의 절필작인 <돌아오지 않는 강> 연작은 1956년 생의 마지막 나날을 보내고 있을 때 제작된 그림이라고 한다.(아래 작품들)
제목은 친구들이 지어 주었다고 하는 데, 마릴린 먼로가 주연을 맡았던 영화제목을 차용해 왔다고 한다. 이중섭이 생애 마지막에 그린 작품의 주제는 '어머니!' 다. 전쟁 중 피란을 오면서 어머님을 남겨둔 채 내려왔기에 늘 죄책감을 안고 있었던 이중섭.
그러던 1956년 3월 어머님이 계신 원산을 비롯한 영동일대에 내린 엄청난 폭설에 이재민이 속출했다는 신문기사가 계속 보도될 때, 이중섭은 어머님에 대한 그리움을 안은 채 그 해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그리움을 안고 한없는 기다림의 삶을, 그림을 그리며 살아온 이중섭의 마음이 참으로 애닲다. 마직막 작품, 창가에 머리를 떨군 채 어머니를 기다리는 아이의 모습에 쓸쓸히 죽어가는 이중섭의 모습이 투영된다
이중섭(1916년 4월 10일 (평안남도 평원) - 1956년 9월 6일), 한국의 서양화가.
호 대향(大鄕). 평남 평원(平原) 출생. 오산고보(五山高普) 졸업. 일본 도쿄문화학원[東京文化學院] 미술과 재학 중이던 1937년 일본의 전위적 미술단체의 자유미협전(自由美協展:제7회)에 출품하여 태양상(太陽賞)을 받고, 1939년 자유미술협회의 회원이 되었다. 1945년 귀국, 원산(元山)에서 일본 여자 이남덕(李南德:본명 山本方子)과 결혼하고 원산사범학교 교원으로 있다가 6·25전쟁 때 월남하여 종군화가 단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신사실파(新寫實派) 동인으로 참여했다. 부산·제주·통영 등지를 전전하며 재료가 없어 담뱃갑 은박지를 화폭 대신 쓰기도 했다. 1952년 부인이 생활고로 두 아들과 함께 도일(渡日)하자, 부두노동을 하다가 정부의 환도(還都)와 함께 상경하여 1955년 미도파(美都波)화랑에서 단 한 번의 개인전을 가졌다. 그후 일본에 보낸 처자에 대한 그리움과, 생활고가 겹쳐 정신분열병증세를 나타내기 시작, 1956년 적십자병원에서 간염으로 죽었다. 작풍(作風)은 포비슴(야수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향토적이며 개성적인 것으로서 한국 서구근대화의 화풍을 도입하는 데 공헌했다. 담뱃갑 은박지에 송곳으로 긁어서 그린 선화(線畵)는 표현의 새로운 영역의 탐구로 평가된다. 작품으로 《소》(뉴욕현대미술관 소장), 《흰 소》(홍익대학교 소장) 등이 있다.
조용필의 돌아오지 않는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