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기의 여인은 누구인가?
정답! 변동림(김향안)입니다
그럼 그녀는 도대체 누구인가?
변동림(1916~2004)은 문학적 재능과 미모를 겸비한 당대의 여신이었다. 화가 구본웅의 계모 변동숙의 이복동생이던 그녀는...
갓 스무살에 천재 시인 이상(1910~1937)을 만났다. ‘오감도’로 주목받았으나 기생 금홍과의 결별로 방황하던 이상은 변동림에게 “우리 같이 죽을까?”라며 청혼했지만 같이 산 지 석 달 만에 일본으로 건너갔고 짧은 생을 마감했다.
1944년 주변의 반대를 무릅쓰고 딸 셋을 둔 김환기(1913~1974)와의 재혼을 감행한 변동림은...
남편 김환기의 아호(雅號) ‘향안’을 달라 했고, 자신의 이름을 '김향안'으로 개명했다. 이름을 받은 것은 남은 생을 그 이름의 원래 주인인 김환기를 위해 살겠다는 다짐이었다.
실제로 남편을 여의고 딱 30년을 더 산 김향안은 뉴욕에서의 작업을 비롯한 김환기의 예술세계를 정리했고 학문적 연구와 지원은 물론 1979년 환기재단을 설립해 1992년 환기미술관을 개관했다.
-서울경제신문 기사 요약-
그럼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연애편지 깝니다~
1955년 파리에서
처음 성탄일을 맞이하는 나의 향에게
행복과 기뿜이 있기를 마음으로 바라며
진눈개비 날리는
성녀산협(城女山峽)에서
으스러지도록 끄러안어준다.너를
나의 사랑 동림이~~~~
수화
위 편지에서 김환기의 닭살 돋는 파리에서의 생활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림속의 문장중에 '성녀산협' 이라고 있는데요, 마지막 한문 '협'=골짜기 협...
성녀산협(城女山峽)
산 봉우리와 골짜기로 어우러진 여인의 몸
베드 씬을 연상케하는 결정적인 단서(?)입니다.^^
아울러 이 그림의 제목입니다.
성처럼 큼지막한 집은 성녀(城女)
그림 뒤에 보이는 산과 골짜기는 산협(山峽)
특히 그림 좌측 끝 부분은 바로 아래 김환기 작품 '푸른 산'을 이미 잉태하고 있었더군요
보다시피 비슷하지요?
한편, 김환기는 신안군 대지주였던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섬과 전답을 소작농들에게 나눠주고 떠나서 그 뒤로 아주 가난하게 살았다고 합니다. 뉴욕에서도 옷장만 하나 달랑 있는 방에서 작품활동을 이어갔다고 하니까요
아래 그림은 전남 신안 고향집에 내려왔을 때 서울에 있던 향안에게 보내려고 완성했던 모양입니다.
향안의게(향안에게)
바람이 자고 볕이 쨍쨍나고
바깟테서 무얼하고픈 날.
어머님은 참기름 짜시고
나는 놈삿=넘세밭 (채전)에 갔드리오.
생치 (상추) 한옥금 뽑아왔지
봄생치가 어디 가을 생치에 당할 수 있나?
하여튼 나는 매일 먹는 궁리만 하고있오.
10월27일 한낮 화안
헌데 밭고랑을 건너뛰랴니까 이런 고려청자의 파편이 눈에 뜨이겠지.
아득한 옛날 이 섬에도 생활(비지니스)이 있었던 모양.
이 수염난 친구 누군줄 아나?
아주 호남이시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화안 : 가을 꽃 만개한 고향 언덕
향안 바로 김향안을 의미합니다.
거장 화백도 이렇게 사랑 앞에선 아래 낚서처럼 쫌 유치해집니다.
근데 이 낙서 아래쪽을 보면 빨 파 초 삼색 점들이 보여요... 뉴욕 시절 고향을 생각하며 완성했던 작품이 연상되지요?
어디서 무었이되어 다시 만나랴 또는 아래 우주 같은 작품의 씨앗이 보입니다.
여기서 잠깐!
다시 위 성녀산협으로 돌아가서 자세히 보세요
벽돌 묘사 ... 역시 대작의 씨앗이 숨어있지요?
단순한 편지같은 그림 속에 다빈치 코드처럼 향후 나타날 대작들이 꿈틀꿈틀^^
'아름다운글 > 수필.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美)와 애욕의 여신 아프로디테(비너스)의 탄생 The Birth of Venus (0) | 2019.01.23 |
---|---|
꽃 담배 피우는 여인 (0) | 2019.01.03 |
노인영화(老人映畫) 속에서 나를 발견(發見)하기 - 왜 노인(老人)들의 신드롬 (0) | 2018.10.03 |
김원숙 (0) | 2018.04.21 |
미인2 (0) | 2018.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