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글/시

오 세영(1942-)

조용한ㅁ 2009. 2. 22. 02:09
오 세영    

             

 

출생
1942년 5월 2일
출신지
전라남도 영광
직업
대학교수,시인
학력
서울대학교대학원
데뷔
1968년 현대문학 '잠 깨는 추상' 등단
경력
2006년 제35대 한국시인협회 회장
1995년 1월~1996년 1월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강의
수상
1999년 공초문학상
1986년 소월문학상
대표작
오세영 시 전집, 문 열어라 하늘아, 무명연시, 만파식적
 

 

 

          

나를 지우고

산에서

산과 더불어 산다는 것은

산이 된다는 것이다

나무가 나무를 지우면

숲이 되고

숲이 숲을 지우면

산이 되고

산에서

산과 벗하여 산다는 것은

나를 지우는 일이다

나를 지운다는 것은 곧

너를 지운다는 것

밤새

그리움을 살라 먹고 피는

초롱꽃처럼

이슬이 이슬을 지우면

안개가 되고

안개가 안개를 지우면

푸른 하늘이 되듯

산에서

산과 더불어 산다는 것은

나를 지우는 일이다

 

 

                                                            장가계 금편계곡 

 

                                                                       

 

                             나무가 항상 한 곳에만 있다고 해서

                             갇혀 있다고 생각치 마라

                             움직이는 인간은 담을 쌓지만

                             서 있는 나무는 담을 허문다

                             날아온 오동씨 하나

                             자라서 제 선 돌담을 부수고

                             담쟁이 칡넝쿨 또한 담을 넘는다

                             인간은 다투어 담을 쌓아

                             그 안을 삶, 밖을 죽음이라 이르건만,

                             그 안을 선, 그 밖을 또

                             악이라 이르건만

                             모두는 원래가 한 가지로 흙

                             인간의 분별은

                             담과 담 사이에 길을 내서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마라고 하나

                             나무에겐

                             이 세상 모든 곳이 또한 길이다 

                                

                        

 

 

          등불

주렁주렁 열린 감

가을 오자 나무들 일제히 등불을

켜 들었다

제 갈 길 환히 밝히려

어떤 것은 높은 가지 끝에서 어떤 것은 또

낮은 줄기 밑동에서

저마다 치켜든

붉고 푸른 사과 등

밝고 노란 오렌지 등

...

보아라 나무들도

밤의 먼 여행을 떠나는 낙엽들을 위해선 이처럼

등불을 예비하지 않던가

 

                   막다른 곳에서

 

                                 그렇게 마냥 서 있었다

                                 한곳에 기다림의 막다른 곳에

                                 걸어서 걸어서

                                 이제 서 있어도 걷는 것이 된

                                 그것을 나무라 할까

                                 그것을 꽃이라 할까

 

                                 산마루에 멍청히 서있는

                                 측백 혹은 소철 한 그루

                                 걷다가 걷다가 지쳐

                                 짓누르는 어깨의 세상 짐들을 부리고

                                 너의 이름을 부리고

 

                                 너를 부리고

                                 마침내 막다른 그곳에 와서

                                 나무는 세상에 늘어뜨린

                                 제 그림자를 걷으려

                                 스스로 꽃과 잎을 벗어버린 채

                                 홀로 하늘을 진다

                                 산이 된다

 

 

 먼 그대

꽃들은 별을 우러르며 산다

이별의 뒤안길에서

촉촉히 옷섶을 적시는 이슬

강물은

흰구름을 우러르며 산다

만날 수 없는 갈림길에서

온몸으로 우는 울음

바다는

하늘을 우러르며 산다

솟구치는 목숨을 끌어안고

밤새 뒹구는 육신

세상의 모든 것은

그리움에 산다

닿을 수 없는 거리에

별 하나 두고

이룰 수 없는 거리에

흰 구름 하나 두고

                            

    

                                      뿌리

 

                            독야청청 소나무라고

                            말하지 마라

                            그 딛고 선 땅 속에서는

                            다른 나무들의 뿌리와 꽁꽁 얽혀 있나니

                            무릇

                            이 세상에 홀로된 것이란 없다

 

                            저 무심한 바위 밑의 샘물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용출하나니

 

                            

 

                           

 

                                                                                    천문대

 

                                          하늘나라 백화점은

                                          도시가 아니라 한적한 시골에 있다

                                          온 하늘 찌든 스모그를 벗어나

                                          청정한 산 그 우람한 봉우리에 개점한 매장

 

                                          하늘나라 백화점은 연말연시가 아니라

                                          대기 맑은 가을밤이 대목이다

                                          아아 쏟아지는 은하수,

                                          별들의 바겐세일

                                          부모의 손목을 잡은 채 아이들은

                                          저마다 가슴에

                                          하나씩 별을 품고

                                          문을 나선다

 

                                                                          장가계 천문산 

 

                                      

바람 앞에 섰다

숨길 것 없이 맨가슴으로

저 향그러운 남풍을

저 매서운 북풍을

가리지 않고 받는 나무

 

햇빛 아래 섰다

부끄럼 없이 맨몸으로

저 뜨거운 폭양을

저 싸늘한 백광을

싫다 않고 받는 나무

 

대지 위에 섰다

굽힐 것 없이 맨다리로

먼 지평선 굽어보며

먼 수평선 너머보며

버티고 선 나무

 

나무는 항상

당당해서 나무다

나무는 항상

순결해서 나무다

바람과 햇빛과 흙으로 빚어진

영혼

 

우리들. 나무.

 

 

                        遠 視 

                            멀리 있는 것은

                            아름답다

                            무지개나 별이나 벼랑에 피는 꽃이나

 

                            멀리 있는 것은

                            손에 닿을 수 없는 까닭에

                            아름답다

 

                            사랑하는 사람아,

                            이별을 서러워하지 마라

 

                            내 나이에 이별이란

                            헤어지는 일이 아니라 단지

                            멀어지는 일일 뿐이다

 

                            네가 보낸 마지막 편지를 읽기 위해서

                            이제

                            돋보기가 필요한 나이,

                            늙는다는 것은

                            사랑하는 사람을 멀리 보낸다는

                            것이다

 

                            머얼리서 바라볼 줄을

                            안다는 것이다

 

 

 

                                            열매

 

                            세상의 열매들은 왜 모두

                            둥글어야 하는가

                            가시나무도 향기로운 그의 탱자만은 둥굴다

 

                            땅으로 땅으로 파고드는 뿌리는

                            날카롭지만

                            하늘로 하늘로 뻗어가는 가지는

                            뾰족하지만

                            스스로 익어 떨어질 줄 아는 열매는

                            모가 나지 않는다

 

                            덥석

                            한입에 물어 깨무는

                            탐스런 한 알의 능금,

                            먹는 자의 이빨은 예리하지만

                            먹히는 능금은 부드럽다

 

                            그대는 아는가

                            모든 생성하는 존재는 둥글다는 것을

                            스스로 먹힐 줄 아는 열매는

                            모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겨울 노래

 

                             산자락 덮고 잔들

                             산이겠느냐

                             산 그늘 지고 산들

                             산이겠느냐

                             산이 산인들 또 어쩌겠느냐

                             아침마다 우짖던 산까치도

                             간 데 없고

                             저녁마다 문살 긁던 다람쥐도

                             온 데 없다

                             길 끝나 산에 들어섰기로

                             그들은 또 어디 갔단 말이냐

                             어제는 온종일 진눈깨비 뿌리더니

                             오늘은 하루 종일 내리는 폭설

                             빈 하늘 빈 가지엔

                             홍시 하나 떨 뿐인데

                             어제는 온종일 난을 치고

                             오늘은 하루 종일 물소릴 들었다

                             산이 산인들 또

                             어쩌겠느냐

 

                                                                                             오 세영(1942-)

                          

 

'아름다운글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곽 재구  (0) 2009.02.23
사랑하는 이에게 오 세영  (0) 2009.02.22
편지/백석  (0) 2009.02.22
- 내가 한 그루 나무였을 때/ 이정하  (0) 2009.02.11
떠나보낸 밤 / 杜宇 원영애  (0) 200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