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玄齋)심사정(沈師正1707~1769)
심사정의 자는 이숙 호는 현재(玄齋)이며, 겸재(謙齋) 정선(鄭敾)과 더불어 18세기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이다. 부사(府使)를 지낸 그의 아버지 심정주(沈廷胄)도 그림을 잘 하였다. 그는 젊어서 정선에게서 그림을 배웠으나, 때마침 유행하기 시작한 남종(南宗)산수화에 심취하여 스승인 정선의 진경(眞景)산수화보다는 전통적 중국 화제(畵題)의 문인화를 즐겨 그렸다. 그의 작품은 산수(山水), 인물(人物), 화훼(花卉), 초충(草蟲) 등 지금 많이 남아 있으며 이 작품들은 각기 여러 기법과 다양한 양식을 보인다. 그러나 많은 작품중 기년작(記年作)은 불과 몇 점에 불과하여 현재 그림 양식의 변천 과정을 더듬기는 매우 힘들다.
심사정의 작품으로는 <방심석전 산수도>, <파교심매도>, <강상야박도>, <하마선인도>, <초충도> 등이 있으며 그의 나이 61세에 그린 <경구화첩> 등이 있다.
그는 어려서부터 드로잉에 특출한 능력을 보였고, 그의 나이 20세에 그림 공부를 시작하였다.
심사정은 회화의 다양한 부문을 섭렵하였는데, 동물과 새, 꽃, 곤충, 식물, 그리고 구름과 용을 잘 그렸으며, 특히 풍경화에서 뛰어났다.
그는 정선화법은 물론 중국 명조(明朝)때 이름을 날린 오파(吳派, 沈周)와 원말 사대가(元末四大家)의 화법도 연구하였으며, 특히 황공망(黃公望)의 화법은 그의 초기 풍경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나이 50대에 그는 진경산수(眞景 山水)와 중국 의 민왕조 때의 한국화된 중국학파에 근간을 둔 자신만 의 고유한 풍경화 양식을 정립하였다. 심 사정의 풍경화는 정선의 화법과 함께 조선후기의 회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명경대(明鏡臺)
화첩 종이에 담채 27.7 * 18.8cm 서울 간송미술관 소장
이 그림은 현재가 그린 일련의 금강산도 중의 한 폭이다. 정선의 금강산도에 비하면 골기(骨氣)가 다소 상실되지만 절대준(折帶 )을 사용하여 거암과 주위 봉우리들을 단순화시키고 거암을 나타내기 위해 옅게 바른 천강색(淺絳色)을 먹빛 짙은 태점(苔點)과 산뜻하게 조화시키는 기량은 남종화법을 자유롭게 구사한 대가의 원숙한 솜씨로서 조금도 손색이 없다
명경대 위에는 갓 쓴 세 명의 선비가 앉아 절경에 넋을 빼앗기고있는데, 그 곁에는 삭발한 승려가 맨머리를 드러내 놓고 서서 열심히 설명하고 있는 듯하다. 당시 여덟 천민(賤民)의 하나로 박해받던 승려들의 진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전설에 의하면 명경대는 신비한 거울로 사람들의 마음 속까지 비치어 죄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을 다 가려낸다고 한다. 배석대에 올라 명경대를 향해 꿇어 엎드리면 여기에 죄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이 환히 비치고 저승의 재판관들인 시왕(十王峯)과 판관(判官峯)은 그에 따라 판결을 내려 도장 (印峯)을 찍고 사자는 죄인들은 좁은 지옥문으로, 죄없는 사람들은 넓은 극락문으로 보낸다고 한다.
●설경산수도(山水圖)
종이에 수묵 담채 32*50.5cm 홍익대학교박물관 소장
이 그림은 작은 화첩이지만 설경 산수를 배경으로 나귀를 탄 선비와 하인을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의 선비도 필경 이른 봄 눈 속에 핀 매화를 찾아 나선 낭만적인 인물이리라. 부드러운 곡선과 파마준으로 묘사된 언덕과 중경의 산봉우리, 한림(寒林), 원경의 눈덮인 산봉우리 등은 패교심매도(覇橋尋梅圖)와 공통되는 양식적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선유도(船遊圖)
종이에 채색 27.3*47cm 서울 개인 소장
이 작품은 몇 안 되는 기년작 중의 하나이다. 오른쪽에 보이는 '갑신신추사(甲申新秋寫)' 라는 간기의 갑신(甲申)은 1764년에 해당하므로 그의 57세 때 그림으로 비교적 만년작임을 알 수 있다. 바다에는 폭풍이 이는 듯 험한 파도가 소용돌이치고 하늘에는 세찬 반향(反響)하듯 굽이치는 먹구름이 덮여 잇는데 이 작은 배는 이상할 만큼 평정을 유지하고 있다.
그 왼쪽 위에는 두 선비가 조금의 동요도 나타내지 않은 채 파도를 감상하며 뱃전에 기대어 있고 그 반대편 끝에서 노 젓는 사공이 대단히 힘에 겨운 듯 몸을 기울려 힘쓰고 있다. 실로 운치 넘치는 문인(文人)풍류(風流)의 선유(船遊)를 호담한 필치로 그렸다.
● 파교심매도
비단에 담채115cm x 50.5cm 국립중앙박물관 1766(영조 42)
이 그림은 심사정이 59세 되던 초여름에 그린 것으로 만년의 전형적인 화풍을 대표하는 작품이다.〈파교심매도〉는 당나라 때의 시인 맹호연(孟浩然)이 파교를 건너 설산에 들어가 매화를 찾아 다녔다는 고사를 소재로 한다.나귀 탄 선비나 동자가 그림의 핵심을 이루면서 겨울 산이 이들의 배경을 이루고 있다.
소재의 선택에서뿐 아니라 전체적인 구도나 인물의 묘사에서 중국의 화보를 참고로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세부의 둥글둥글한 산 모양이나 구불구불한 필선, 색감 등에서 심사정 특유의 개성이 드러난다.군데군데 엷은 갈색과 붉은색, 초록색을 가미하여 차분한 겨울 산에 생동감을 더해준다.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화첩 종이에 담채 33.5*41.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그림은 여름 장마철 산간의 비오는 경치를 묘사하였는데, 화면의 중앙에 흐르는 시냇물 위에 돌다리가 가로놓여 있고, 오른쪽 근경에 담묵의 버들과 초묵(焦墨)으로 둥지와 가지를 치고 총총히 잎새를 묘사한 몇 그루 나무가 서 있는데 우장을 쓴 두 행인이 보인다.
돌다리를 건너 왼쪽으로 가면 가파른 벼랑이 있고, 물을 따라 길이 나 있는데, 중경 숲 속에 초가몇 채가 지붕만 보일 뿐이다. 그 뒤로 산등성이가 여름 안개 위로 전개되고, 멀리 담청색의 원산이 보인다. 그 위 왼편 공간에 '천고절작(千古絶作)'이라 끝을 맺는 평시(評詩) 한 구절이 초서체로 써 있어 전체 분위기와 잘 어울리고 있다.
● 하마선인도(蝦磨仙人圖)
비단에수묵 담채 22.9*15.7cm 서울 간송미술관 소장
심사정의 이 〈하마선인〉의 '하마'란 두꺼비의 한자어이며, '하마선인'은 두꺼비를 가진 신선이라는 뜻이다. 신선도의 일종으로서, 신선전(神仙傳)에 의하면 유해(劉海)라는 신선은 세 발 달린 두꺼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두꺼비는 그를 세상 어디든지 데려다 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두꺼비는 가끔 우물 속으로 도망치곤 해 그는 두꺼비를 금전(金錢)이 달린 끈으로 끌어올리곤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두꺼비는 재물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중국에서도 역대에 걸쳐 많이 그려졌다.
호방한 필묵법으로 그려진 이 그림에서도 돈이 달린 듯한 끈으로 세 발 달린 두꺼비를 희롱하고 있다.
선인에서는 간략하면서도 요점을 잘 드러내는 선종화의 특징이 보인다. 일정한 윤곽이 아닌 넓은 붓질로 처리한 옷은 하나하나는 산만하게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표현 효과가 강렬하여 그의 개성이 역력히 드러나 보인다.
윤곽선들은 붓이 아닌 지두화로 그려 더욱 속도감이 느껴진다
.현재는 화훼와 초충(草蟲) 그림들이 지닌 무르익은 솜씨와 그 독보적인 색감(色感)을 보면 과연 조선 화단에 따를 이가 없구나 싶으며 산수(山水)화 역시 발군의 필력(筆力)임에 틀림없다.
●강상야박도(江上夜泊圖)
족자 비단에 수묵 153.8*60.8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심사정의 작품 중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복고풍의 작품이다. 명대(明代)의 원체(院體)산수화로 느껴지는 북종화(北宗畵)적인 여운을 원숙한 기법으로 처리하여, 거의 조선시대의 것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자연스럽게 중국적인 감각을 갖추고 있다. 원경 또한 미불(米 )이나 동기창(董其昌)을 연상시키는 격조를 띠고 있고, 화면의 색감도 가라앉은 어두운 색으로 일관하여 충만감이 있는 그림의 밀도를 느끼게 한다. 번지듯 스며 있는 담묵과 부드럽고 습윤한 농묵이 차분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이 그림은 1747년의 작품으로 그의 나이 41세 때의 작품이다.
● 딱다구리
비단에 채색 25cm x 18cm 서울 개인 소장
심사정의 〈딱따구리〉는 대담한 구성으로 큰 그림에서 느낄 수 있는 격을 갖춘 훌륭한 작품이다. 홍매화가 비스듬히 서 있는 가운데 머리와 배가 선홍색인 딱따구리가 이 매화 등걸에 달라붙어 쪼고 있다.
고목이 된 매화나무의 의연한 모습과 주저함없이 자신 있게 쓴 필법, 그리고 활짝 핀 매화에 쓰인 여유 있는 붓질이 매화의 화사함과 더불어 능숙한 솜씨를 보인다. 더구나 수묵을 위주로 하면서도 먹과 어울린 선명한 색채가 눈길을 끈다.
●맹호도(猛虎圖)
종이에 수묵 담채 96 * 55.1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호랑이를 주제로 한 그림이 발달했었다. 이 작품은 전해온 호랑이 기림 중에서도 뛰어난 짜임새와 묘사력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형형하게 빛나는 눈빛, 용맹스러운 표정, 전신을 감싼 터럭의 생생한 질감, 꼬리를 곤두세우고 유연하게 몸을 틀어 앞을 노려보는 몸짓 등이 모두 이 맹수의 힘과 행동력을 압축 표현하여 화면 전체에 팽팽한 긴장감을 나타내었다
. 여기 씌여진 화제(畵題)와 낙관(落款)에 의하면 1774년에 해당하는 연기(年紀)와 현재가 그린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연대는 현재가 세상을 떠난 지 4년 후가 되므로 그의 작품으로 단정하기 어려우며 서체(書體) 또한 현재의 글씨가 아니다. 다만 그의 작품에 후세 사람이 화제를 쓰고 낙관을 찍었을 가능성이 있겠다.
●초충도(草蟲圖)
종이에 채색(紙本淡彩) 27.3 * 21.9cm 서울대학교박물관
이 그림은 먹과 채색의 비율이 반반쯤 되고 바위의 외곽선을 제외하고는 꽃, 풀, 곤충을 모두 몰골법(沒骨法)으로 처리했다. 여기저기 구멍이 뚫려 태호석(太湖石)을 연상케 하는 바위는 풀과 꽃의 분위기에 맞추어 부드럽게 묘사했다.
그 옆에 자란 붉은 나리꽃에는 색채의 농담을 다양하게 구사하여 꽃잎의 질감과 꽃송이의 입체감을 잘 표현했으며 특히 세 개의 꽃봉오리는 물기를 머금은 모습이 매우 감각적이다. 바위에 앉은 메뚜기도 얇은 날개, 가는 다리와 촉각을 그린 섬세한 필선과 녹(綠), 황(黃)의 변화잇는 배합을 썼으니 전체적으로 신선한 느낌을 주는 좋은 그림이다.
<연지쌍압도>
비단에 채색, 1760년(54세)142cm x 72.5cm 호암미술관
현재의 작품으로는 특이하리만큼 화사한 색채로 묘사되었다.많은 색채를 이용함으로 인해 속기(俗氣)로 보여질 수 있으나,이 작품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유려한 필치와 우아한 설채로 화면 전체를 그려내고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볼수록 여성적 아름다움이 조용히 일어남을 느낄 수 있다. 화면 우측하단부에서 시원스레 뻗어올려진 홍백의 연꽃과 그와 더불어 품위있게 말려진 연잎들 또한,웬지 너무도 다정스레 보이는 원앙 한쌍으로 실물의 모습을 잘 니타내고 있다.
작품 상단에 제를 보면 청나라 장정석의 그림을 보고 그렸다하나, 이 작품은 모사의 개념이 아니라 현재만의 아취가 역력히 베어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http://www.towooart.com/oldart/old_korea/simsajung/simsajung.htm
'좋은그림들 > 한국의화가 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수동 (0) | 2013.08.29 |
---|---|
표암(豹菴) 강세황 (0) | 2013.05.11 |
현재 심 사정(玄齋 沈 師正)의 만물도(萬物圖) (0) | 2013.04.03 |
전기(田琦)의 계산포무도(溪山苞茂圖) (0) | 2013.04.03 |
매화초옥도(梅花草屋圖) (0) | 201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