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아미 기자]출산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낙네가 멸치를 팔러 나왔다. 퉁퉁 불은 젖가슴을 드러낸 채 흥정에 여념이 없다. 그 옆에 나물 파는 아낙네는 손님이 내민 돈을 입으로 받았다. 이 억척스러운 여인네들에게서 진한 땀냄새가 난다.
독일 드레스덴 출신 화가인 윌리 세일러(Willy Seilerㆍ1903-?)는 전후 1960년대 한국의 재래시장을 이렇게 압축시켰다. 일본 목판화로부터 영향을 받은 작가는 우연한 기회에 방문했던 한국에서의 강렬한 인상을 사실적이고 섬세한 동판화로 기록했다.
이방인의 눈으로 한국의 옛 모습을 담은 작품들이 ‘가나아트 컬렉션’전에 나왔다. ‘이방인, 조선을 눈에 담다’라는 테마로 외국인이 본 근대 풍물화들이 가나인사아트(서울 관훈동) 전시장 3층에서 소개됐다.
세일러를 포함,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ㆍ1887-1956), 폴 자쿨레(Paul Jacouletㆍ1896-1960), 릴리안 메이 밀러(Lilian May Millerㆍ1895-1943) 등 일본 목판화 기법으로 1920년대 조선을 그린 작품들이 마치 당시의 한국 관광 사진첩을 보는 듯한 생생함을 전해준다.
![]() |
윌리 세일러, 흥정, 채색 동판화, 21x29㎝, 1960년대 [사진제공=가나문화재단] |
가나문화재단(이사장 김형국)이 개최한 가나아트 컬렉션전은 20세기 초 한국 근대미술을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된 전시다. 전통을 고수하거나 서구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양식으로 변화를 꾀한 한국 근대미술의 발전 양상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 |
엘리자베스 키스, 정월 초하루 나들이, 목판화, 38x26㎝, 1921 [사진제공=가나문화재단] |
가나아트와 서울옥션을 설립한 이호재 가나아트 회장은 상업화랑 경영을 통해 축적한 유ㆍ무형의 자산을 ‘공익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 2월 사재를 출연해 가나문화재단을 설립했다. 이번 전시는 가나문화재단의 이름으로 펼쳐지는 최초의 자료전인 셈이다.
![]() |
릴리안 메이 밀러, 달빛 속의 한국농가, 목판화, 20.6x31.8㎝, 1928 [사진제공=가나문화재단] |
특히 이번 전시에는 고암 이응노(1904-1989)의 미공개 드로잉이 공개돼 눈길을 끈다. 동양화의 전통을 기반으로 새로운 조형 세계를 구축한 고암의 드로잉 700여점 중 400점이 전시장 4층과 5층을 채웠다. 가나문화재단은 고암이 1960년 프랑스 파리에 정착하기 전까지 그렸던 데생 작업을 모아 ‘고암 이응노 드로잉집 1930-1950s’도 출판했다.
![]() |
이응노, 나부, 종이 위에 수묵담채, 37x28㎝ [사진제공=가나문화재단] |
이 밖에 전시장 지하 1층에서는 박수근(1914-1965)의 드로잉 35점을 볼 수 있다. 1982년 서울미술관 전시 후 30여년만에 공개되는 작품들이다. 빨래터 아낙네들의 모습을 담은 모노톤의 드로잉이 박수근의 유화작품 ‘빨래터’와는 다른 간결하고 소박한 맛을 준다.
전시는 3월 1일까지.
![]() |
박수근, 무제, 종이 위에 연필, 12x16㎝, 연도미상 [사진제공=가나문화재단] |
'전시. 공지 > 전시회. 음악회. 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밀레 전시회 (소마미술관)-자연과 노동의 신성함이 가득한 감동의 시간 (0) | 2015.03.20 |
---|---|
앵그르에서 칸딘스키까지 (0) | 2015.03.04 |
이홍원展 (0) | 2015.01.26 |
이육록 화백의 두번째 작품 발표회가 (0) | 2014.04.03 |
파리 15구 퐁데자르 갤러리- 재불화가 정하민 개인전 (0) | 201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