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인적인 극기수행과 용맹 정진을 통해 큰 깨달음을 얻어
성분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성철스님.
그는 그의 마지막 임종직전에
"한 평생 남녀무리를 진리가 아닌 것을
진리라고 속인 죄가 너무 커 지옥에 떨어진다"고
회한으로 몸부림치며 천추의 한을 토로 했습니다.
과연 그가 도달한 깨달음의 실체는 무엇인가요?
성철스님의 열반송. - (조선일보 1993.11.15.15면)
(동아일보 1993.11.5 31면)(경향신문1993.11.5. 9면)
(중앙일보 1993.11.5. 23면)(도서출판 "삶과 꿈" 류범상)
생평기광 남녀군 - 일평생 남녀무리를 속여 미치게 했으니
미천과업 과수미 - 그 죄업이 하늘에 미쳐 수미산보다 더 크구나.
활염아비 한만단 - 산채로 불의 아비지옥으로 떨어지니 한이 만갈래 나 되는구나
일륜토홈 괘벽산 - 한덩이 붉을 해가 푸른 산에 걸렸구나
성철스님은 조계종 종정으로 있던 1987년 "부처님 오신 날"법어에서
"사단(하나님 을 부정하는 귀신의 우두머리)이여! 어서 오십시요,
나는 당신을 존경하며 예배합니다.
당신은 본래 부처님입니다."라고 신앙고백을 했습니다.
조선일보 - 1987. 4. 23 7면 경향신문 - 1987. 4.23 9면
대한불교 조계종 종정사서실 [큰빛총서 1] - 서울사시연1994년 p.56-59
운명 전 지옥의 석가를 보고 쓴 성철의 시
[성철의 마지막 운명 전 참 깨달음의 시 - 최후의 말]
"석가는 원래 큰 도적이요 달마는 작은 도적이다.
西天(서천)에 속이고 東土(동토)에 기만하였네!
도적이여 도적이여! 저 한없이 어리석은
남여를 속이고 눈을 뜨고 당당하게 지옥으로 들어가네
한마디 말이 끊어지니
일천성의 소리가 사라지고
한칼을 휘두르니 만리에 송장이 즐비하다.
알든지 모르든지 삼신실명을 면치 못하리니 말해보거라
이 무슨 도리인가!
작약 꽃에 보살의 얼굴이 열리고
종녀앞에 夜*의 머리가 나타난다.
목위의 무쇠간은 무게가 일곱근이요,
발밑의 지옥은 괴로움이 끝없도다.
석가와 미차는 뜨거운 구리 쇳물을 마시고
가섬과 아난은 무쇠를 먹는다.
몸이 날려 백옥 난간을 쳐부수고
손을 휘둘러 황금 줄을 끊어버린다.
산이 우뚝우뚝 솟음이여
물을 느릿느릿 흐르며 잣나무 빽빽함이여
바람이 씽씽분다.
사나운 용이 힘차게 나니
푸른바다가 넓고 사자가 고함지르니
조각 달이 높이 솟았네 알겠느냐?
1 2 3 4 5 6 7 이여 두견새 우는 곳에
꽃이 어지럽게 흩어졌네 억!"
그리고는 "억-!" 소리와 함께 운명하였습니다.
위의 시는 성철의 운명 전에 시사저널 담당자가 취재해온 것이며,
이 시는 추상적인 시가 아니라
운명 전 영안이 열려서 영계를 직접 보면서
지옥의 석가와 달마와 가섬과 아난이
지옥에서 괴로워하는 모습을 싯구로 묘사한 것입니다.
영계에서 직접보지 않고는
자기가 평생 섬겼던 석가를 도적이라 말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극락은 천국의 낙원을 말하는 것으로
예수 믿고 죄사함을 받은 자들이 가는 곳이며
석가와 달마도 극락을 가지 못하고
지옥으로 떨어져 괴로워하고 있는 모습을
성철스님이 영계 속에서 직접 본 것이지요.
구례 화엄사에 보관 중인
불경 나마다경(38:8)에 보면
다음과 같은 석가모니의 예언적인 말이 기록 되어 있습니다.
何時 爺蘇來 吾道 無油之 燈也
하시 야소래 오도 무유지 등야
이 말은 놀랍게도
蘇來 (야소래) "언젠가 예수(爺蘇)께서 오시면...
내가 깨달은 도는 기름 없는 등과 같이 쓸모가 없다" 라는 뜻입니다.
* 참고 : (중국에서는 예수를 야소(爺蘇)로 표현)
석가가 입멸하기 전 최후로 한 설법에 나오는 말입니다.
이처럼 석가모니는 마지막에는 자신이 깨닫고
가르쳐왔던 불교의 모든 가르침을 부정하고 갔습니다.
딸 불필 스님에게 남긴 유언
내 죄는 산보다 높고 바다보다 깊은데
내 어찌 감당하랴
내가 80년 동안 포교 한 것 은 헛것 이로다
우리는 구원이 없다.
죄 값을 해결할 자가 없기 때문이다.
딸 필희와 54년을 단절 하고 살았는데
죽을 임종 시에 찾게 되었다.
내가 잘못했다.
나는 지옥에 간다.